0. 개요
자동화의 이전 글 (https://janguri.tistory.com/4)에서, 이미지 유사도 기반 자동화 프로세스를 도입한 경험을 소개했었다.
최근 ROI라는 개념을 배우게 되어, 한번 계산해 보았다.
1. ROI?
ROI는 Return on Investment의 약자로, 투자 대비 효과를 말한다.
쉽게 말해, "돈 얼마쓰면 얼마 벌어줄지"에 대한 경영학적인 용어이다.
공식은 아래와 같다.
ROI = (순투자수익/투자비용)*100%
즉, 돈 얼마 쓰면(투자비용) 얼마 벌어줄지(순투자수익)의 비율이고,
100% 미만 : 적자
100% 초과 : 흑자
라고 볼 수 있다.
2. 상황
이전 자동화 프로세스 도입 글에서, 다음과 같은 업무를 진행했다.
Before
게임을 자동 플레이를 켜 놓으면 특정 확률로 팝업이 등장하고, 해당 팝업을 수동으로 터치해서 종료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자동화 했다.
After
특정 팝업 식별 시 팝업을 자동으로 터치해 팝업이 자동 종료된다.
3. 자동화 도입 전
자동화 도입 전의 비용을 분석하기 위해, 여러가지 요인이 있어야 했다.
- 프로젝트 기간
720시간으로 산정 = 43,200분 - 특정 확률로 팝업 등장
10분으로 산정, 총 4,320회의 팝업 등장 - 터치 해서 종료
1회당 25초, 총 108,000초 소요 = 30시간
프로젝트 기간은 6주였고, 아래와 같이 계산되었다.
근무시간 * 근무일 * 근무인원, 즉 8시간 * (6주 * 5일) * 3인 = 720 시간
특정 확률을 정확히 알 수 있다면 계산을 할 수 있겠으나, 아쉽게도 확률이 주어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체감 상 평균 10분 정도 확률로 팝업이 발생했다!
터치 해서 종료는, 다음 두가지 시간을 더했다.
업무 중 손을 뻗어 팝업 종료 버튼을 누르는데에 걸리는 시간 : 5초
업무 중단 후 재 몰입에 대한 시간 : 20초
20초를 산정하기 위해, 아래 글 (업무 중단 후 재 몰입 시간에 대한 글)을 참고했다.
Office workers reacted to the majority of their incoming emails within 6 seconds of it arriving (Jackson 2001). Then it took them on average 64 seconds to resume work.
위 실험에서는 이메일 확인으로 인해 집중력 분산이 64초간 이어진다고 하는데, "팝업만 누르는 단순 작업"은 그의 1/3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해서 20초로 산정했다!
즉,
43,200분의 프로젝트 기간동안 업무 중 자동 플레이에서 4,320번의 팝업이 등장하고, 이 중 30시간을 팝업 누르는데에 사용했다.
라고 표현할 수 있다.
4. 자동화 도입 후
자동화 도입 후의 비용 계산은 매우 간단하다!
매우 간단한 툴이었고, 총 8시간의 개발, 배포, 사용법 안내 로 마무리 지었다.
정확히는, 4시간 쯤에 걸쳐 작동하는 프로토타입을 완성했고, 2시간정도에 걸쳐 사용성 개선 (자주 변경되는 값 변수화 등등의 리팩토링)을 마쳤으며, 파이썬, opencv, adb 등 사용환경에 대한 내용들을 같은 팀원에게 안내했다.
5. 최종 ROI
ROI = {(30-8)/8}*100% = 275%
ROI = 275%라는 숫자가 나온다!
즉, 투자한 시간 대비 2.75배의 효과를 봤다. 라고 말을 할 수 있는 것.
만약 내 시급이 만원이었더라면, 8만원을 투자해서 30만원의 가치를 창출한 셈이다!
6. 제외된 요인
24시간 활용 가능한 툴이었기에 "데이터 누적량"이 8시간에서 24시간 늘어난 효과도 있었다. 하지만 빨리 끝내는게 중요하지 않았기에 요인으로 포함되지 않았다.
만약 "데이터 누적을 마쳐야 다음 업무 진행이 가능하다." 라고 했다면 이 또한 아주 중요한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
7. 결론
팝업이 등장하는 시간, 업무 재 몰입 시간 등 일부 제멋대로 설정한 값이 있어 정확도와는 거리가 있는 내용이다.
어쩌면 정량적이지 않은 값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내용들을 잘 정리하면 성과를 어필할 상황(면접, 자기소개)에서 한 마디 붙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자동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화] 이미지 유사도 기반 플레이 자동화 방법 (3) | 2025.02.06 |
---|